여행&육아 리뷰/여행 trip

남한산성 행궁 : 경기도 가볼만한 곳, 사진찍기 좋은 곳, 아이와 함께 가기 좋은 곳 (ft. 경기도민 무료 이용방법, 주차팁)

슛슝 2021. 8. 24. 00:00
728x90
반응형

#1. 안녕하세요? 슛슝이에요.
오늘은 남한산성 행궁에 다녀온 후기를 들려드릴거에요. 저도 이번에 처음 방문 했는데요. 고즈넉하게 다녀오기 좋고, 아이들과도 좋은 경험이 되어서 더 소개해드리고 싶어료. 더불어 경기도민이면 무료로 행궁에 들어가실 수 있기 때문에 이용방법도 같이 알려드릴게요.


#2. 남한산성 행궁 : 경기도 가볼만한 곳, 사진찍기 좋은 곳, 아이와 함께 가기 좋은 곳 (ft. 경기도민 무료 이용방법, 주차팁)

남한산성 행궁 외행전

| 남한산성 행궁
행궁이란 임금이 서울의 궁궐을 떠나 도성 밖으로 행차하는 경우 임시로 거처하는 곳을 말한다. 남한산성 행궁은 전쟁이나 내란 등 유사시 후방의 지원군이 도착 할 때까지 한양 도성의 궁궐을 대신할 피난처로 사용하기 위하여 인조 4년(1626)에 건립되었다. 실제로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여 47일간 싸웠다. 이후에도 숙종, 영조, 정조, 철종, 고종이 여주, 이천 등의 능행길에 머물러 이용하였다. 남한산성 행궁은 우리나라 행궁 중 종묘(좌전)와 사직(우실)을 두고 있는 유일한 행궁으로 유사시 임시수도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곳이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행 남한산성 팜플렛 참조)

남한산성 행궁 관람안내
관람시간 10:00~18:00(하절기) 17:00(동절기)
휴궁일-매주 월요일/공휴일 제외
관람요금 어른 (19-64세) 2000원, 단체(30인) 1,600원
청소년(7~18세) 1000원, 단체(30인) 800원


남문주차장

남한산성 도립공원 남문주차장에 주차를 했어요. 평일 3,000원, 주말 5,000원입니다. 여기서 주차꿀팁! 다자녀 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요. 2자녀 이상이면 다자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가족관계증명서 및 등본 확인) 또 장애인, 유공자, 군인, 한복착용 모두 감면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희는 2자녀 이상 다자녀여서 등본을 제시하고 50% 감면을 받았습니다.



남한산성 주차장 50% 감면혜택
이륜차, 1000cc미만 승용차 평일 1,500원 / 주말 및 공휴일 2,500원
1000cc이상 승용차, 15인승 이하 소형 승합차, 1톤 이하 소형 화물차 평일 3,000원 / 주말 및 공휴일 5,000원
중 대형 승합차, 화물차 이용불가 검복리 주차장 등 성 밖 무료주차장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09:00시 이후 입차 차량은 선불 징수
09:00시 이전 입차 차량은 09:30분 이후 출차 시 후불 징수

+17:00시 이후 입차 차량은 주차요금 1,000원(17:30~익일 09:00 무료)

+면제대상
장애인(본인 및 직계가족 보호자), 국가유공자 및 유족, 공무수행자,
3자녀(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제시), 국빈 및 외교사절, 현역군인,
병역 명문가, 한복 및 전통의복 착용(상,하의 모두착용)

+50% 감면대상
친환경 자동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 및 저공해 자동차
2자녀(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제시)
성실세납자

+성내 선정상가 이용객 특별할인
17:30분까지 주차요금 영수증과 할인권 제시할 시 주차요금 50% 환불




주차하고 남한장(음식점) 건너 오솔길로
왼쪽으로는 인화관
방문자센터가 나왔어요
근처에 기념품샵
행궁에 가기로 했어요
매표소로 가봅니다.
행궁매표소

경기도민 무료(신분증 제시)라고 되어 있습니다. 경기도민 확인 가능한 등본이나 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 남한산성 행궁 안내
관람시간 10:00~18:00(하절기) 17:00(동절기)
하절기 4월~10월
동절기 11월~3월
*9시30분부터 매표합니다.
*관람종료 30분전까지 매표합니다.

입장료
어른(만19-64세) 2000원, 단체(30인) 1,600원
청소년(만7~18세) 1000원, 단체(30인) 800원



| 남한산성 행궁 관람료 무료대상
1. 경기도민(신분증 필수 지참)
2. 만6세이하, 만65세 이상 노인(외국인 제외)
3. 장애인(1~3급 동반 보호자 1인 포함)
4.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518 민주유공자, 특수임무 수행자 및 그 유족
5.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및 고엽제후유의증 2세
6. 한복을 착용한 사람
7. 군복을 입은 현역 군인
8. 학생인솔 등 교육활동으로 입장하는 초,중,고 교원(유치원, 보육시설 교사 포함) 및 관광안내 자격증 소지자
9. 그밖에 도지사가 인정하는 자




왼쪽 행궁가는길로 올라가요
보호수가 보이고요
오른쪽 행궁으로 입장
외행전

ㅣ외행전
외행전은 하궐의 중심 건물로 정당이라고도 하였다. 외행전은 내행전과 함께 인조3년(1625) 남한산성 수축을 시작한 이듬해에 시작하여 인조4년(1626)에 준공하였다. 규모는 정면 7칸에 측면 4칸으로 상궐의 내행전과 동일한 전체 28칸 건물이지만 바닥 면적이 내행전은 167m2인 반면 외행전은 142m2로 약간 작다. 기둥 상부의 공포는 내행전에서는 새 날개처럼 생긴 이익공 부재를 사용한 반면 외행전은 끝부분을 둥그렇게 만든 물의공으로 하였는데 이는 상궐보다 위계를 낮추기 위함이다. 외행전은 2010년 복원한 것인데, 발굴조사과정에서 통일신라 관련 유구들이 확인되어 건물지와 와적지 일부를 현장 보존하여 전시하였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간 남한산성 행궁 팜플렛 참조)

통일신라 건물지
내려가봐요
통일신라 건물지 발굴현황
통일신라시대 유적

이렇게 통일신라 건물지를 보고 일장각으로 이동합니다.
따로 동선이 그려져 있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합니다.

ㅣ일장각
일장각은 하궐 왼편에 있는 관아건물로 광주유수가 사용판 8칸 규모의 건물이다. 일장각은 청량산의 또 다른 이름인 일장산을 전각의 이름으로 한 것이다. 순조 29년(1829) 광주유수 이지연이 세웠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간 남한산성 행궁 팜플렛 참조)

ㅣ내행전
내행전은 임금의 침전으로 규모는 정면 7칸에 측면 4칸으로 전체 28칸 건물이다. 중앙 3칸은 대청으로 되어 있고, 양 옆은 온돌방과 마루방으로 되어 있다. 대청을 제외한 3면으로 퇴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임금이 머무는 동안 수행원의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남한산성 행궁의 내행전은 임금의 안위를 위해 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부속시설은 담 밖에 위치하는 폐쇄적인 배치구조이다. 내행전의 기둥 상부의 공포는 새의 날개처럼 생긴 부재를 두개 겹쳐 쌓은 이익공 형식으로 행궁 내 건물 중 가장 격식이 높다. 팔작지붕의 추녀마루에는 왕실건물에만 있는 잡상이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간 남한산성 행궁 팜플렛 참조)

재덕당

ㅣ재덕당
재덕당은 상궐 내행전 뒤편 언덕에 있는 건물로 숙종 14년(1688)에 유수 이세백이 정면 3칸, 측면 2.5칸의 규모로 건립하였다. 옆에는 반석이라는 암각문이 새겨진 바위가 있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간 남한산성 행궁 팜플렛 참조)

좌승당

ㅣ좌승당
좌승당은 상궐 왼편 내곽 담장 밖에 있는 유수의 집무용 건물이다. 좌승 이란 앉아서 이긴다는 의미로 반드시 이길만한 게책을 써서 적을 물리친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순조 17년(1817) 광주유수 심상규가 지은 이름이다. 건물의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고, 건물 규모는 정면 6칸, 측면 3칸으로 방과 마루로 되어 있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간 남한산성 행궁 팜플렛 참조)

이위정

ㅣ이위정
후원에 있는 이위정은 순조17년(1817) 광주유수 심상규가 활을 쏘기 위하여 지은 정자이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1칸이다. 이위정에 관련된 기록은 이위정기 탁본과 함께 [증정남한지]에 그 내용이 전해지고 있는데, 기문은 심상규가 짓고 글씨는 추사 김정희가 썼다. 이때 심상규의 나이가 51세, 김정희의 나이가 31세 였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간 남한산성 행궁 팜플렛 참조)

+전 여기가 가장 좋았어요. 가장 높은 곳이기도 하고 멋진 정자(들어가볼 수는없지만)가 있어서 사진 찍고 싶은 욕구가 막 솟구치는 곳이었어요. 아이들도 넓은 후원에서 달리며(죄송합니다.. 조상님..) 조금 쉬어갈 수 있었어요. 저희가 간 시각이 5시 조금 넘은 시각이라 6시 마감까지 조금은 빠르게 올라와 봤는데요. 덕분에 사람이 좀 적은 것도 같고 마주치지 않게 주의하며 관람하고 돌아왔습니다. 간만에 행궁에 다녀오니 기분이 좋더라고요. 가까운 곳에 이렇게 사진 찍기 좋고 아이들과 함께 다녀오기 좋은 곳이 있다는 것이 행운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딱히 교육적인 차원이 아니어도 자주 오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단청 컬러도 너무 이쁘고 역시 우리 것이 좋더라고요! 짱!

통일신라 와적지
출토된 기와들인가봐요. 신기
이곳은 개방되지 않았어요
내려가는길 매표소 뒤 한남루 입니다
화장실
화장실 이용하고 싶었는데, 5시 넘어서 잠겨 있음 ㅠ
남한산성 종각

ㅣ남한산성 종각
20세기 초까지 남한산성 중심지에는 서성문의 개폐와 비상 상황을 알리는 종각이 있었으며, 현재도 종로거리라 불린다. 다시 종각에 설치된 종은 조선시대 4대 명종으로 이름난 국보 제280호 성거산 천흥사 동종이다. 고려시대 사찰인 천안의 천흥사가 폐사된 이후 남한산성 종으로 사용되다가 일제강점기 때 창경원 박물관으로 이송 후 현재 국립 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종은 성거산 천흥사 동종의 형태를 기본 모델로 하여 원형의 문양 및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되 크기는 300관에서 1000관(3.75톤)으로 크게 하여 종울림이 좋게 하였다. 종각은 문헌을 토대로 고증을 통하여 6칸, 팔작 지붕으로 건립되었다.
(경기도 남한산성 세계유산센터 발간 남한산성 행궁 팜플렛 참조)


#3. 오늘은 이렇게 남한산성 행궁을 둘러봤어요. 이곳 외에도 인화관, 남한산성 행궁 중 좌전(영녕전, 정전)을 보고 오지 못했어요. 다음에 또 갈 이유로 남겨두려 합니다. ㅎㅎ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주중에 종일 집에 있기 때문에 주말에는 서울 근교로 경기도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으로 나들이를 잠시나마 다녀오고 있는데요. 이곳은 사진 찍기에도 좋고, 식사를 해결하기에도 좋고, 주차도 편하고 서울 인근이어서 정말 왜 많은 분들이 남한산성을 좋아하시는지 다시 알게 되었어요. 다음에 꼭꼭 다시 오고 싶은 남한산성 다녀온 후기였습니다.


[카카오맵] 남한산성도립공원 남문주차장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042

http://kko.to/wowZS1f40

남한산성도립공원

지도위에서 위치를 확인하세요

map.kakao.com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end.



728x90
반응형